상처 소독, 어떤 소독약을 사용해야 할까?
안녕하세요, 알쓸정모 입니다.
작은 상처라도 제대로 소독하지 않으면 감염의 위험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소독역이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처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소독약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다양한 소독약의 특징과 올바른 사용 방법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상처 소독에 사용하는 주요 소독약 종류
※하기 이미지들은 AI가 만들어낸 이미지입니다.
1. 포비돈 요오드 (일명 빨간약)
-특징 : 강력한 살균, 소독 효과가 있음
-사용법 : 거즈나 면봉에 묻혀 상처 부위에 발라줌
-주의사항 : 피부 착색이 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하면 세포 재생을 방해할 수 있음
-추천 사용처 : 찰과상, 철상 등 일반적인 상처에 사용
2. 과산화수소수
-특징 : 거품이 생기면서 이물질과 균을 제거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음
-사용법 : 상처부위에 직접 바르거나 희석 후 사용
-주의사항 : 장기간 사용 시 정상 세포에도 손상을 줄 수 있음
-추천 사용처 : 상처의 초기 소독 및 출혈이 있는 경우에 사용
3. 클로르헥시딘
-특징 : 피부 자극이 적고 지속적인 소독효과
-사용법 : 상처 부위에 직접 뿌리거나 발라줌
-주의 사항 : 알코올 성분이 포함된 제품은 상처에 자극을 줄 수 있으니 주의 해야함
-추천 사용처 : 경미한 찰과상, 화상, 수술 후 상처 등
4. 에탄올 (알코올 소독약)
-특징 : 강한 소독 효과로 균을 빠르게 제거
-사용법 : 거즈에 묻혀 상처 주변을 닦아냄 (상처 내부에 직접 사용 X)
-주의 사항 : 상처에 직접 바르게 되면 통증과 피부 자극이 심할 수 있음
-추천 사용처 : 피부 소독 (주사 전 피부 소독, 상처 추변의 소독)
5. 생리 식염수
-특징 : 자극이 없어 세척용으로 적합
-사용법 : 상처 부위를 깨끗이 헹굴 때 사용
-주의 사항 : 생리 식염수는 살균 효과는 없으므로 추가적인 소독이 필요함
-추천 사용처 : 이물질이 들어간 상처, 눈 코 입 주변 상처
상처 소독 시 올바른 방법
- 깨끗한 손으로 소독을 진행해야 합니다.
- 생리 식염수로 상처를 먼저 세척해 줍니다.
- 상처에 알맞는 적절한 소독약을 선택하여 사용합니다.
- 소독 후에는 습윤 밴드 또는 적절한 보호 처치를 시행 합니다.
- 감염 징후(붉어짐, 고름, 심한 통증 등)가 있다면 병원을 꼭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잘못된 상처 소독 방법
-소독약을 여러 번 덧바르게 되면 피부 회복이 더뎌 질 수 있습니다.
-상처에 알코올을 직접 바르게 되면 심한 통증과 더불어 조직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니 주의 하시기 바랍니다.
-상처를 자주 만지게 되면 감염 위험이 증가하니 불필요하게 상처를 만지지 않도록 합니다.
상처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소독약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경미한 상처라면 생리식염수와 클로르헥시딘, 심한 상처에는 포비돈 요오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꼭 병원에서 적절한 치료를 받는것이 안전하니 소독 후 병원을 방문해서 의사의 진료를 받으시는 걸 권장드립니다.
이상으로 알쓸정모 였습니다. class=”myButton”
✅ 이 블로그의 볼만한 다른 글
✅ 알아두면 쓸모있는 정보 모음